본문 바로가기
자전거 이해, 정비

타이어 튜브 및 공기주입구에 따른 분류

by 심훈의 자전거 2016. 6. 23.




타이어의 튜브장착 방법에 따라 클린처(clincher), 튜블리스(tubeless), 튜블러(tubular) 로 나눌 수 있다.

 

 

1. 클린처 - 가장 일반적인 튜브+타이어 조합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타이어의 종류로, 튜브를 안에 넣고 타이어를 끼워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펑크가 났을 때 튜브를 교체하는 것으로 쉽게 정비가 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선수들도 평상 시에는 클린처를 애용하는 편이다.

   자전거 타이어종류, 수치 읽는 법, 적정 공기압 설정  

 

2. 튜블리스 - 튜브가 없는 타이어

 

클린쳐튜브는 교체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작은 충격에도 쉽게 펑크가 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튜블리스로, 보기에는 클린처 타이어와 동일해 보이지만 타이어를 끼웠을 때 공기가 통하지 않아 튜브가 필요없다.

튜블리스 타이어를 사용할 때는 튜블리스용 림으로 제작된 휠이 필요하고, 실란트를 주입해 작은 펑크에 미리 대비하는 경우도 많다.

     

 

3. 튜블러 - 튜브내장형 봉합 타이어

 

타이어 중에 가장 고가이면서 장착도 어려운 것이 튜블러 타이어다. 이것은 타이어 안에 튜브를 내장시키고 타이어를 봉합한 형태로 되어 있어서 휠에 끼우지 않고도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전용 튜블러 휠셋을 사용해야 하며, 전용 본드를 이용해 타이어를 림에 부착하게 되는데, 본드가 제대로 굳을 때까지 라이딩을 해서는 안된다.

튜블러는 경기용으로 개발되다 보니, 가볍지만 내구성도 떨어지는 편이고 펑크가 났을 때 바로 수리하지 못하고, 새로운 타이어가 장착된 휠셋으로 교체해야 라이딩을 이어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지식]산악자전거(MTB) - 자전거 타이어 종류, 수치 읽는 법, 적정 공기압 설정 @ 전문가 과정 34탄

 

 

공기 주입구 방식에 따른 분류


타이어 바람 넣기 / 로드자전거 / 로드자전거 타이어 / 혼자서도 손쉬운 바람넣기


1. 프레스타(Presta) 방식

유럽대륙 쪽에서 유래한 방식으로, 로드바이크와 MTB 등 고급 스포츠 자전거에 많이 쓰인다. 나사형태의 잠금장치로 밸브를 풀고 닫는 방식이다휴대용 펌프로 손쉽게 공기압을 넣을 수 있고 정확한 공기압을 체크할 수 있다. 하지만 밸브가 작고 가늘어서 밸브의 끝이 부러질 가능성이 있고 밸브 코어(Valve Core)를 교환할 수 있는 튜브가 아니면 밸브 파손으로 인해 튜브 전체를 교환해야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2. 슈레더(shredder) 방식

미국에서 유래했으며 MTBBMX에 주로 쓰인다. 자동차와 오토바이에도 사용되는 방식으로 공기압 측정이 쉽고 관리도 편하다. 직경이 넓은 주입구에 밸브 코어가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어 별도의 조작없이 공기를 쉽고 빠르게 넣을 수 있다.


3. 던롭(Dunlop) 방식

초기 영국에서 개발된 방식으로생활자전거나 미니벨로에서 흔하게 사용된다. 공기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바람이 쉽게 빠지면 밸브 안쪽의 고무 튜브인 속칭 무시 고무를 수시로 확인하고 교체해야 공기의 누설을 막을 수 있다.


'자전거 이해,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컴번트 후륜제동장치 설치여부  (0) 2023.08.24
리컴번트의 휠 얼라이먼트  (0) 2023.05.26
자전거 폐달의 종류  (0) 2015.09.30
카본휠  (0) 2014.02.01
특이한 자전거  (0) 2013.09.29